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아스파탐
- 미션임파서블 별점
- 식품공학
- 쿠키영상
- 미션임파서블 평점
- 미션임파서블 추천
- 프리바이오틱스
- 미션임파서블 줄거리
- 어몽어스
- 인디아나 존스
- 사카린
- 미션임파서블
- 더 뉴 티볼리
- 더 뉴 티볼리 에어
- 인디아나 존스 3
- 인디아나존스 OST
- 릭 애슬리
- 경기도
- 저금리 대출
- KG모빌리티
- 인디아나존스
- 미션임파서블 쿠키
- 발암물질
- 우유
- 미션임파서블 7 추천
- 대체감미료
- 햇살론
- Mission: Impossible
- 우유과학
- 경기도 복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5)
금창면옥
가공식품을 제조할 때 식품첨가물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식품첨가물은 인간이 가공식품을 만들기 시작할 때부터 사용되어왔다. 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이산화황, 육가공식품의 염지에 사용되는 아질산염 등은 인류가 아주 오랫동안 사용한 대표적인 식품첨가물이다. 2차 대전 이후 20세기 중반에 시작된 식품 가공 산업의 발전은 식품첨가물의 발전을 이루어 내었다. 식품첨가물이 사용되는 경우는 크게 4가지로 첫째, 가공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경우, 둘째, 식품의 보존을 위해 필요한 경우, 셋째, 기호성을 향상하기 위해, 넷째, 영양 강화를 위해 사용된다. 첨가물 없이 만들 수 없는 식품으로는 대표적으로 껌, 두부, 빵 같은 식품들이 첨가물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식품이다. 껌의 경우 식품첨가물인 껌베..
식품첨가물의 정의와 법률 가공식품에 첨가되는 식품첨가물의 정의와 정체에 대해 앞으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식품첨가물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식품첨가물은 '식품위생법; 제2조에서 "식품을 제조, 가공 및 조리 또는 보존하는 과정에서 감미, 착색, 표백, 또는 산화방지 등을 목적으로 식품에 사용되는 물질"로 정의되어 있다. 한국의 경우 식품에 직접 사용하는 첨가물만을 포함하지만 일본의 경우 "식품의 제조과정에 사용되거나 혹은 가공, 보존의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정의되어 있어 최종 완성된 식품에 남아있지 않고 공정에만 쓰이는 성분도 식품첨가물에 포함된다.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
식품 미생물 검사의 주요 지표 세균인 대장균군과 시험법 대장균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대장균군은 그람 양성균으로서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무 아포성) 간균으로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및 통성 혐기성 세균을 말한다. 식품공전에서는 식품 미생물 시험법 중 대장균군 시험법을 공시했으며 이 시험법은 대장균군의 유무를 판단하는 정성시험과 수를 산출하는 정량 시험이 있다. 대장균군의 유무를 알아보는 정성시험은 3가지로 유당 배지법, BGLB 배지법, 데스옥시콜레이트 유당 한천 배지법 이 있다. 유당 배지법은 추정 시험, 확정 시험, 완전 시험 3단계로 나눈다. 유당 배지법 이외 방법의 확정 및 완전 시험은 유당 배지법과 동일하여 유당 배지법 만 설명하도록 한다. 유당 배지법은 시험 용액을 유..
세균에 의한 식중독 세균에 의한 식중독은 감염형과 독소형으로 나뉘며 두 가지 특징 모두 나타내는 혼합형도 존재한다. 감염형은 체내로 들어온 세균이 장점막에서 증식하여 염증을 일으켜 발병하는 식중독이다. 외부에 LPS를 가지고 있어 장점막에 침범하기 쉬운 그람 음성균인 경우가 많다. 독소형 식중독은 독소 섭취형 식중독과 독소 생산형 식중독을 의미한다. 독소 섭취형 식중독은 세균이 생산한 독소를 섭취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이다. 독소 생산형 식중독은 세균이 증식해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여 소장 점막에서 독소를 생산하는 식중독이다. 혼합형 식중독의 경우 체내로 들어온 세균이 독소를 생성함과 동시에 장점막을 침범하여 염증도 일으킬 수 있는 식중독이다. 대표적인 식중독균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는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항생물질 항생물질(antibiotics)이란 '미생물이 생산한 다른 미생물의 생장 및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로 정의된다. 흔히 병원성 미생물 감염에 대한 치료와 예방 등에 사용되며 사람뿐 아니라 전염병 피해가 큰 가축이나 작물에도 사용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항생물질 약물을 항생제라고 부르며 통상적으로 마이신(mycin)으로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항생물질로는 페니실린(Penicil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폴리옥신(Polyoxin), 크로모마이신 A3(Chromomycin A3) 등이 있다. 페니실린은 Penicillium notatum, Penicillium chrysogenum 등의 균에서 생산된다. 페니실린은 베타락탐환을 가..

현대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모든 산업에 중요한 플라스미드를 알아본다. 플라스미드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플라스미드는 세균류 염색체 이외의 유전물질(요인)을 말한다. 이 정의는 1952년 미국의 유전학자 레더버그가 명명했다. 최근에는 진핵생물도 포함하는 범위에서, 자가 증식하는 세포질 성 유전인자를 말한다. 플라스미드의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플라스미드의 유전인자를 수평적 유전 전달로 전달할 수 있는 접합형 플라스미드(conhugative type)와 전달 능력이 없는 비 접합 플라스미드(nonconjugative type)가 있다. 종류로는 F인자, R인자, colicin(콜리신)인자 등이 알려져 있다. F인자(ertillity plasmids)는 접합형 플라스미드로서 장내 세균에서 관찰된다. 세균..